'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54건

MySQL 트랜잭션

PHP 2016. 2. 29. 19:49

트랜잭션 시작

mysql_query("START TRANACTION");



쿼리 실행
$sql = "";
$result =mysq_query($sql);


if($result){//쿼리성공
    mysql_query("COMMIT");
    return $result;
}else{//쿼리실패(롤백)
    mysql_query("ROLLBACK");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mcrypt 설치가 안될 때  (0) 2017.11.05
페이징 및 함수이용  (0) 2016.03.01
php 5.4 number_format  (0) 2016.01.27
php 5.4 eregi to preg_match  (0) 2016.01.27
php 5.4 split to explode  (0) 2016.01.27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1. MySQL


<dependency>

<groupId>mysql</groupId>

<artifactId>mysql-connector-java</artifactId>

<version>5.1.31</version>

</dependency>






2. Oracle


<dependency>

    <groupId>com.oracle</groupId>

    <artifactId>ojdbc14</artifactId>

     <version>10.2.0.4.0</version>

</dependency>



3. Oracle11g


<repositories>

<repository>

<id>codelds</id>

              <url>https://code.lds.org/nexus/content/groups/main-repo</url>

</repository>

</repositories>


<dependency>

    <groupId>com.oracle</groupId>

    <artifactId>ojdbc6</artifactId>

    <version>11.2.0.3</version>

</dependency>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root@localhost home]#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mapper/VolGroup-lv_root

                      51606140  51548556         0 100% /

tmpfs                  2991528         0   2991528   0% /dev/shm

/dev/sda1               495844     31918    438326   7% /boot

/dev/mapper/VolGroup-lv_home

                     362809852 243248684 101131424  71% /home




/dev/mapper/VolGroup-lv_root 에 여유공간이 없을 때.

/var 폴더를 /home/var로 옮기고 심볼릭 링크를 걸어준다.

mysqld, httpd 등은 중지하고 시작한다.

1. mkdir /home/var
2. cp -pr /var/* /home/var
3. rm -rf /var
4. ln -s /home/var /var
5. mysqld, httpd 등 시작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OS 7 토렌토 서버 설정 모든 것 transmission-daemon 403  (0) 2016.03.06
CenOS 7 vsftpd 포트변경 및 passive mode 설정  (0) 2016.02.29
rsync.conf  (0) 2016.02.16
linux top cpu usage  (0) 2016.02.15
top load average  (0) 2016.02.15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VIP로 받은 메일을 찾아 보낸이에서 우측 클릭하여 VIP에서 제거를 클릭한다.


VIP가 보일 것이다.


다시 VIP에 추가해 준다.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안드로이드 GCM 설정

Android 2016. 2. 17. 22:09

구글 GCM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발자 콘솔에서 등록을 해야 한다.


1. 개발자 콘솔 :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


개발자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대시보드로 들어간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ID와 서버키 값이다.



2. 프로젝트 생성


새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프로젝트 생성 후 숫자로 된 ID가 만들어진다.



3. API사용 설정 및 관리


해당 프로젝트에서 API사용 설정 및 관리로 들어간다.


아래와 같은 API관리자 화면으로 들어간다.





GCM을 사용하려면 모바일 API 항목 중에 Google Cloud Messaging 으로 들어간다.


사용함으로 설정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된다.






4. 사용자 인증 정보 설정


좌측 탭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 설정을 클릭하여 아래 화면으로 간다.





Create credentials 버튼을 클릭하여 API키를 클릭한다.


새 키 만들기에서 서버 키 를 클릭한다.






아래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와 같이 서버 키 1 이 만들어졌다






GCM Push 를 보내기 위한 설정 등록이 완료되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프로젝트ID가 사용되고. Push를 보낼 때 서버키가 사용된다.



GCM Push를 보내는 방법은 블로그내 검색하면 나온다.



끝.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 gem error notregistered  (0) 2016.02.17
이클립스에서 LogCat 보기  (0) 2016.02.05
Android SDK] Error when loading the SDK. 에러  (0) 2016.02.04
android SDK for Eclipse Mars in Mac  (0) 2016.02.04
EditText 포커스 여부 확인  (0) 2016.02.02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GCM환경설정이 완벽한데 전송시 error:NotRegistered 라고 뜬다면..


말 그대로 해당 기기가 GCM 서버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GCM등록을 하기 전에 개발단계에서 기기에 미리 설치된 기기정보에게 GCM을 보내려고 할 경우에 발생한다.


해결방법은.


해당 기기정보를 자체 디비에서 삭제한다.

앱을 다시 설치한다.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GCM 설정  (0) 2016.02.17
이클립스에서 LogCat 보기  (0) 2016.02.05
Android SDK] Error when loading the SDK. 에러  (0) 2016.02.04
android SDK for Eclipse Mars in Mac  (0) 2016.02.04
EditText 포커스 여부 확인  (0) 2016.02.02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rsync.conf

Linux 2016. 2. 16. 18:09

[원본서버]


1. rsync install(update) rsync


[root@localhost ~]#yum install rsync    



2. /etc/rsyncd.conf 설정


log file = /var/log/rsyncd.log


[web]


comment         = web

path            = /home

hosts allow     = 123.123.123.123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no

max connections = 10

timeout = 1000


~                                          



3. vi /etc/xinetd.d/rsync


disable = no 로 바꿔준다.



# default: off

# description: The rsync server is a good addition to an ftp server, as it \

#       allows crc checksumming etc.

service rsync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4. xinetd 재시작


$ service xinetd restart

xinetd 를 정지 중:                                         [  OK  ]

xinetd (을)를 시작 중:                                     [  OK  ]




xinetd  가 없을 경우 아래와 같이 설치


$ yum install xinetd




5. iptables 등록


iptables -A INPUT -s 클라이언트ip -p tcp --dport 873 -j ACCEPT






[복사하는 클라이언트]


rsync -azPog --delete root@123.123.123.123::web/ /home/


서버의 home 의 모든 내용이 클라이언트의 home 에 복사된다.




rsync -azPog --delete root@123.123.123.123::web/testuser /home/testuser/


서버의 /home/testuser 폴더의 내용이  클라이언트의 /home/testuser 폴더에 복사된다.




위의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만들어 cron  에 등록한다.


vi /rsync_web.sh


#!/bin/sh




rsync -azPog --delete root@123.123.123.123::web/testuser /home/testuser/



#chmod 700 rsync_web.sh


#crontab -e



*/3 * * * * /home/rsync_web.sh

~                                        



매 3분마다 실행됨.


저장하고 나와서 crond 재시작


#service crond restart



cron 의 다른 옵션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http://ellordnet.tistory.com/6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OS 7 vsftpd 포트변경 및 passive mode 설정  (0) 2016.02.29
/dev/mapper/VolGroup-lv_root 100%  (0) 2016.02.23
linux top cpu usage  (0) 2016.02.15
top load average  (0) 2016.02.15
CentOS 7 SVN iptables  (0) 2016.01.29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linux top cpu usage

Linux 2016. 2. 15. 18:25

리눅스 top 이 실행된 상태에서 키보드 숫자 1을 누르면 상세한 cpu상태를 알 수 있다.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오는데 Cpu0 ~ Cpu7 까지 있다는 것은 quad core cpu 2개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top - 18:19:45 up 1614 days, 11 min,  3 users,  load average: 3.99, 19.67, 38.17

Tasks: 212 total,   2 running, 210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0  : 18.3%us,  1.0%sy,  0.0%ni, 80.0%id,  0.7%wa,  0.0%hi,  0.0%si,  0.0%st

Cpu1  : 11.7%us,  1.3%sy,  0.0%ni, 86.7%id,  0.3%wa,  0.0%hi,  0.0%si,  0.0%st

Cpu2  : 26.6%us,  1.3%sy,  0.0%ni, 52.5%id, 19.6%wa,  0.0%hi,  0.0%si,  0.0%st

Cpu3  : 17.9%us,  4.3%sy,  0.0%ni, 76.4%id,  1.0%wa,  0.0%hi,  0.3%si,  0.0%st

Cpu4  : 10.3%us,  2.0%sy,  0.0%ni, 86.7%id,  0.3%wa,  0.3%hi,  0.3%si,  0.0%st

Cpu5  : 16.3%us,  2.7%sy,  0.0%ni, 79.0%id,  2.0%wa,  0.0%hi,  0.0%si,  0.0%st

Cpu6  : 22.5%us,  1.7%sy,  0.0%ni, 72.5%id,  2.0%wa,  0.7%hi,  0.7%si,  0.0%st

Cpu7  : 39.7%us,  4.7%sy,  0.0%ni, 35.0%id, 15.7%wa,  0.0%hi,  5.0%si,  0.0%st

Mem:   8300692k total,  7877640k used,   423052k free,   272432k buffers

Swap:  5144568k total,      100k used,  5144468k free,  3901936k cached



여기서 


Cpu단위당 설명을 보면,


Cpu0  : 33.3%us,  7.0%sy,  0.0%ni, 55.3%id,  4.3%wa,  0.0%hi,  0.0%si,  0.0%st


33.3%us : 사용자가 사용한 cpu %
7.0%sy : 커널시스템이 사용한 cpu %
0.0%ni : 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cpu %
80.0%id : cpu idle time %
4.3%wa : cpu 대기시간 %
0.0%hi : 하드웨어 접근 시간 %
0.0%si : 소프트웨어 접근 시간 %
0.0%st : 가상머신이 사용한 시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mapper/VolGroup-lv_root 100%  (0) 2016.02.23
rsync.conf  (0) 2016.02.16
top load average  (0) 2016.02.15
CentOS 7 SVN iptables  (0) 2016.01.29
아파치 리다이렉션 apache url redirection www .htaccess rewrite httpd.conf  (0) 2016.01.25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top load average

Linux 2016. 2. 15. 18:15


top - 18:14:25 up 1614 days, 6 min,  3 users,  load average: 4.94, 50.49, 52.42



첫번째 : 4.94 : 과거 1분간 부하 평균

두번째 : 50.49 : 과거 5분간 부하 평균

세번째 : 52.42 : 과거 15분간 부하 평균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ync.conf  (0) 2016.02.16
linux top cpu usage  (0) 2016.02.15
CentOS 7 SVN iptables  (0) 2016.01.29
아파치 리다이렉션 apache url redirection www .htaccess rewrite httpd.conf  (0) 2016.01.25
Linux NFS iptables  (0) 2016.01.19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

Window > Show View > Other > Android > LogCat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GCM 설정  (0) 2016.02.17
and gem error notregistered  (0) 2016.02.17
Android SDK] Error when loading the SDK. 에러  (0) 2016.02.04
android SDK for Eclipse Mars in Mac  (0) 2016.02.04
EditText 포커스 여부 확인  (0) 2016.02.02
블로그 이미지

엘로드넷

,